가톨릭 교리/미사

미사 준비와 순서

yyddgim 2014. 6. 14. 22:36

▒ 미사 준비 ▒


◎ 미사 참례의 특전을 부여받은 사람들은 세례를 받은 가톨릭 신자입니다.

“전례예식에 깊은 이해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완전히 참여” 하시기 바랍니다.

◎ 미사 시작 15분전에는 성당에 도착 하여
   마음을 차분하게 정돈하여 미사에 참여하도록 하고
   미사 전의 묵주기도와 성가연습에 함께 하도록 합시다.

◎ 휴대폰을 꺼 놓읍시다.

※ 흔히 미사를 “보러간다”라고 할 때가 있습니다.
   주님의 말씀을 듣고 깨닫고 결심하고
   감사하는 마음과 눈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고
   귀와 혀와 입과 감정과 마음을 합하여 하는 것이기에
   우리는 “미사참례” 라고 해야 합니다.

◎ 성당에 항상 늦게 와서 뒤에 앉아 있다가
   미사가 끝나기가 무섭게 일어서는 사람이 있습니다.
   주인이 아니고 손님 같은 신자입니다.

※ 매일은 못하더라도 주일만은 온전히 주님만을 위해 여유를 가집시다.

◎ 미사참례 복장은 단정한 옷차림, 되도록 정장을 하도록 합시다.

※ 소매 없는 옷이나 지나치게 짧은 미니스커트,
   속이 많이 드러나는 옷, 츄리닝, 기타 운동복, 슬리퍼 착용은
   합당한 전례 복장이 아닙니다.

◎ 성당마당에 들어서 성모님께 인사를 합니다.
   이때 성모님께 성호를 그어 인사함은
   바람직한 행동이나 긋지 않아도 상관은 없습니다.

◎ 성당 안으로 들어가기 전 성수를 찍을 때
   “이 성수로써 저의 죄를 씻어주시고
   마귀를 쫓아내시며 악한 생각을 없이 하소서 “
   기도한 후 성당 안으로 들어와 제대를 향하여
   경건하게 십자성호를 그으십시오.

◎ 제대를 향하여 가운데 통로를 통행하지 않습니다.

※ 오래된 신자 중에도 가운데 통로로 다니는 신자들이 많습니다.

   중앙 통로는 사제, 수도자, 전례봉사자만 통행 하여야 합니다.
   제대 앞을 지나고자 할 때에는
   정중히 머리 숙여 예를 갖춘 후 통과 하십시오.

◎ 고해성사는 가능한 고해소 에서 하십시오.
   그래야 내 죄를 반성할 기회와 잊고 있던 모든 잘못을 기억할 수 있고
   성찰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※ 미사시작 시간이 되면 다음에 보십시오.

◎ 자리에 앉은 후에는 마음을 정리하고 간단한 기도를 바칩니다.
   그런 후 오늘의 복음 말씀을 읽고 다음에 1, 2독서를 읽어 보십시오

※ “복음”은 예수님 자신이십니다.
     말씀, 수난, 십자가, 죽음, 부활, 재림이 담겨있는 거룩한 책입니다.

※ 1독서와 2독서 화답송도 복음에 대한 준비 과정입니다.

◎ 미사 중에는 가급적 합장을 하십시오.
   양손 바닥이 마주 닿게 하고 손끝의 위치는
   자기 어깨 높이에 두고 오른손 엄지손가락이 왼손 엄지를 누릅니다.

※ 이때 손끝이 정면이나 바닥을 찌르듯 한 자세는 바르지 않습니다.

◎ 미사시간에는 조용하고 정중한 자세를 취하도록 합시다.
   옆 사람과 이야기 하거나 다리를 포개거나 팔짱을 끼는 것,

※ 그리고 주보나 안내문 책자를 읽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.







♬ 입당성가 471번 ♬



◎ 입당성가는 함께 모인 이들의 일치를 강화하고
   전례시기와 축제의 신비로 우리의 마음을 이끌고
   교우 모두가 사제와 봉사자들의 행렬에 참여하는 것입니다.
   따라서 입당 시간이 다소 길어지더라도 시작 성가는
   적어도 2~3절까지 충분히 부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

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--

◎ 아멘 - 성호를 그을 때
   손을 모아서 이마와 가슴 양쪽어깨에 손이 닿아야 합니다.

† “사랑을 베푸시는 하느님 아버지와
   은총을 내리시는 예수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시는
   성령께서 여러분과 함께 ” 라고 할 때

◎ 우리는 “사제와 함께 ”하면서 주례사제에게
   오늘 처음 만남의 인사를 가볍게 나누십시오.

※ 그리고 미사 중에는 아무 때나 머리 숙여
    굽신 하는 것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.

† “형제여러분, 구원의 신비를 합당하게 거행하기 위하여
   우리 죄를 반성합시다.“ 하는 부분의 참회예식에서
   가장 중요한 것은 주님을 마주 대하듯 뵙는 것 입니다.

※ 참회예식은 하느님의 자비와 용서를 우리에게 가르쳐 줍니다.

※ 미사를 시작하는 내 마음을 준비 시킵니다.

◎ 본기도에서 사제가 기도합시다.
   하고 잠시 침묵 할 때 회중은 사제와 함께 잠시 침묵하면서
   자신들이 하느님 앞에 있음을 깨닫고 마음속으로 자신들의 간청을 드립니다.

† 전능하신 하느님과

◎ 형제들에게 고백하오니, 생각과 말과 행위로 죄를 많이
   지었으며, 자주 의무를 소홀히 하였나이다.(가슴을 치며)
   제 탓이오, 제 탓이오, 저희 큰 탓이옵니다. 그러므로 간절히
   바라오니, 평생 동정이신 성모 마리아와 모든 천사와 성인과
   형제들은 저를 위하여 하느님께 빌어 주소서.

† 전능하신 하느님, 저희에게 자비를 베푸시어,
   죄를 용서하시고, 영원한 생명으로 이끌어 주소서.

◎ 아멘.


♬ 자비송 (가툴릭 성가 325번) ♬


♬ 대영광송 (성가 326번) ♬


† 기도합시다. (사제와 교우들은 잠깐 묵묵히 기도한다.)

† 주님께서는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계시며 다스리시나이다.

◎ 아멘.


▒ 말씀의 전례 ▒







◎ 미사 중에 “해설자”는 사회자가 아닙니다.
   (사회자라고 표현함은 합당치 않습니다.)

※ 미사 전 교우들에게 인사말은 사제께서 하십니다.

※ 해설자가 장황하게 인사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.
   해설자의 마이크 소리가 사제보다 높아서는 안 되며
   교우들의 합송 부분과 성가를 마이크로 해서도 안 됩니다.

※ 해설자는 미사 처음부터 끝까지 미사참여 자세에 모범이 되어야 하며
   모든 교우와 함께 하여야 합니다.

※ 미사 중에 “일어서십시오. 앉으십시오.” 는 원칙적으로 하지 않습니다.
   다만, 저희 성당의 사정상 여러 곳에서 미사가 진행되므로
   해설자가 미리 판단하여 안내하고 있습니다.

◎ 독서자는 사전에 성서 내용을 이해하고 묵상해야 하며
  그가 주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있다는 의식을 가지고
  성서말씀을 봉독하여야 하며 교우들이 잘 들을 수 있도록
  똑똑히 그리고 천천히 말씀을 선포하도록 해야 합니다.
  제1독서에서 하느님 말씀을 듣고 신자들은 화답송으로 찬미 드립니다.
  화답송은 오랜 세월과 교회 전통 속에 남아있는 삶의 표현이고
  하느님께 드리는 인간의 찬미입니다.

※ 모든 이는 독서를 통하여 선포되는 말씀을 공경의 마음으로 들어야 합니다.







♬ 화답송 (성가대) ♬








◎ 성가는 기도를 배가 시킵니다.
   기쁘고 간절한 마음으로 성가를 부르되
   남들에 비해서 너무 높아서는 안 됩니다.

※ 공동으로 드리는 기도 또한 여러 사람과 함께 소리를 맞춰서
   정성스럽게 바치도록 합니다.

◎ 영성체 후 기도 또는 성당 안에서 개인적으로 기도를 드릴 때
  소리가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하고 모든 행동을 조심하여
  옆 사람에게 분심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.

※ 화답송은 독서의 낭독으로 들은 하느님 말씀에 대한 응답이지만

※ 복음 환호송 은 앞으로 올 것에 대한 대비요 준비 입니다.

※ 그래서 앉아서 듣던 신자들이 다가오는 복음,
   즉 예수님을 맞으려고 일어섭니다.

※ 오실 주님 앞에 흠숭의 표시이며 말씀을 잘 듣기 위한 표현이요
   준비이며 인사와 신앙고백입니다.







♬ 복음환호송 (성가 366번) ♬








◎ “루가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” 이때 “주님 영광 받으소서.”할 때
    엄지로 이마, 입술, 가슴에 대고 작은 성호를 그으십시오.

※ 이마는 머리의 중심으로 복음 말씀을 잘 깨닫고,
   입으로는 깨달은 바를 전파 또는 고백하며,
   가슴속 깊이 간직하여 생활 속에 실현하려는 의지의 표시 입니다.

※ 그리고 하느님 말씀이 선포되고 듣는 시간이기 때문에
   성서나 매일미사 책을 보지 말고 합장하고 들어야 합니다.
   직접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이기 때문입니다.







♬ 보편 지향기도 응답송 (성가 370번) ♬



◎ 보편지향기도 (신자들의 기도가 아님)의 기도 지향은
   소박하고 단순하게 공동체의 청원을 표현하는 것 이여야 합니다.







♬ 봉헌 성가 121번 ♬



▒ 성찬의 전례 ▒


◎ 봉헌성가는 행렬이 없더라도
   사제가 예물을 준비하는 동안 계속 할 수 있습니다.

◎ 성찬의 전례는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는 시간입니다.

※ 헌금은 한 주일에 한 번 하느님께 드리는 우리의 정성이니
   미리 마음으로부터 준비하여 깨끗한 금전으로 봉헌 할 수 있도록
   준비하는 습관을 가집시다.

※ 봉헌하러 가면서 주머니를 이곳저곳 뒤지는 모습은 정성이 없어 보입니다.

◎ 예물기도 전 준비기도 :
  사제가 ‘형제 여러분 우리가 바치는 이제사가.....
  받아주시도록 기도합시다’.하면 ,
  회중은 일어서서 ‘사제의 손으로 바치는 이제사 ..
  도움이 되게 하소서’라고 응답합니다.


♬ 거룩 하시 도다 (성가 327번) ♬



◎ 거룩 하시 도다! ..
  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분, 찬미 받으소서. 높은데서 호산나!

※ 이때 호산나는 원래 `도와주십시오.` `구원 하소서` 란 뜻이지만
   교회 예절(전례)에서는 하느님에 대한 환호 소리 입니다.

◎ “거룩하신 --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게 하소서”

※ 빵과 포도주가 몸과 피가 되는 성변화 직전에
   성령께 기도 하는 의미를 깊이 이해 할 수 있어야 하며

※ 이때 종을 치는 것은
   이를 알리는 순간이므로 가볍게 머리를 숙여 경배합니다.

◎ “너희는 이것을 받아먹어라- 받아마셔라”

※ 이때 종을 치는 것은 제대의 성찬예식을 직접 볼 수 없는 경우가 있으므로
  종을 칩니다. 처음 종이 울리면 제대를 향해 올려진 성체를 주시하고
  두 번째 울릴 때 주례사제와 함께 머리 숙여 경배 드립니다.
  이로써 예수님의 구원의 죽음을 ‘지금 여기에’ 영속적으로 재현 합니다.

◎ 마침 영광송 “그리스도를 통하여, 그리스도와 함께-- 영원히 받으소서.”
   이때 제대를 향하여 주례 사제를 따라 마음속으로 합송 합니다.


♬ 신앙의 신비여 (성가 373번) ♬


♬ 마침 영광송(아멘 성가 378 번) ♬



※ ‘아멘’은 백성의 큰 환호로 확인되고 끝맺는 순간입니다.


♬ 주님의 기도 (성가 387, 389번) ♬



◎ 영성체가 주님과의 일치를 뜻하듯
   평화의 인사 또한 교우들과의 일치의 시간입니다.

※ 너와 내가 다 같은 하느님의 자녀요 형제자매이며
   같은 신자라고 생각할 때에 서로 일체감을 갖습니다.

※ 서로 진실 된 마음으로 반갑고 기쁜 마음을 표시 하십시오.

◎ 빵의 나눔, 평화의 인사를 나누는 동안 주례사제는 빵을 쪼갭니다.

※ 예수님께서 마지막 만찬에서 행하셨던
  큰 빵을 나눈다는 실천적 이유뿐만 아니라
  수적으로 우리는 많지만 오직 한분 이신 그리스도의 생명의 빵을 나눔으로서
  한 몸이 되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사실상의 미사에 절정 이 됩니다.

◎ 평화를 빕니다.


♬ 하느님의 어린양 (성가 328번) ♬



◎ “하느님의 어린양--이 성찬에 초대 받은 이는 복 되도다”

※ 이때 주님, 제 안에 주님을 모시기에--제가 곧 나으리이다.... 하면서
  그리스도와 일치를 준비 합니다.







♬ 성체 성가 498번 ♬



◎ 영성체송은 사제가 성체를 모실 때에 시작 합니다.

◎ 영성체 시간은 참으로 거룩한 시간입니다.
   마음을 모아 주님과 일치하도록 합시다.

※ 미사 전에는 미리 손을 씻고 오도록 하고 왼손이 위로 오른손은 아래로 하여
  성체를 받으시고 영 할 때는 오른손을 사용하도록 합시다.

※ 그리고 특별히 손이 너무 더럽다거나 손을 다쳤을 경우,
   아이를 안고 있을 경우에는 입으로 영성체를 하십시오.

※ 앞사람이 사제에게서 성체를 받을 때
   깊은 절로 공경의 예를 드린 다음
  사제 앞으로 나가 성체를 받아 모십니다.

※ 영성체를 할 때 사제께서
  “그리스도의 몸”하면 큰소리로 “아멘”으로 응답 하십시오.

※ 성체를 모신 후에는 감실에 대고 절을 하지 않습니다.
   또한 가급적 성체를 씹어서 먹지 않도록 합시다.

◎ 영성체가 끝나고 자리에 온 신자는
   침묵 중에 감사와 찬양의 기도를 드립니다.

◎ 영성체를 하는 동안 자기의 미사보가 없을 때
   남의 것을 잠시 빌려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.

※ 준비하지 못하였다면 쓰지 않아도 됩니다.

◎ 미사시간은 가급적 “말씀의 전례”가 시작되기 전에 도착하여
   최소한 복음 말씀은 들어야 합니다.

※ 가능한 영성체는 하도록 하십시오.


▒ 파 견 ▒


♬ 파견성가 459번 ♬



◎ 마침성가는 퇴장성가가 아니고 “파견성가”입니다

※ 미사가 끝나고 나갈 때에는 성가 책 기도서 등을 정리하고
  주보와 신문 책자 등은 집에 가지고 가서 보십시오.

※ 당일 안내 봉사자들은 봉헌금을 정리하여
  사무장에게 인계함으로서 전례봉사를 마치게 됩니다.



▒ 참고자료 (동영상) ▒


1. 독서자의 올바른 자세와 봉독법


2. 미사의 구조 - 시작예식


3. 미사의 구조 - 말씀예식


4. 미사의 구조 - 영성체예식


5. 미사의 구조 - 성찬전례


6. 주일 미사 참례


7. 미사예물과 교중미사

'가톨릭 교리 > 미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미사란 무엇인가  (0) 2014.06.14
미사를 지내시는 분은 누구인가?  (0) 2014.06.14
필요한 것은 미사 뿐입니다  (0) 2014.06.14
천사들과 미사   (0) 2014.06.14
미사의 신비에 버금가는 신비  (0) 2014.06.14